본문 바로가기
유용할 지도...?

Z플립4 뜯자마자 불량 테스트 하는 방법

by 비공인지식중개사 2022. 10. 30.
반응형

갤럭시 Z플립4가 출시되었습니다. 최소 2~3년은 쓰셔야 하는데 장기간 쓰시려면 초기에 불량이 있는지 체크를 잘하셔야겠죠? 그래서 뜨자마자 바로 불량 테스트를 하실 수 있게 준비해봤습니다. 먼저 박스를 뜯기 전부터 다 뜯을 때까지를 동영상으로 촬영을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러면 불량을 증명하기가 한결 수월하겠죠? 그러면 안 되겠지만 혹시라도 불량이라면 2 주내로 교환 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그럼 시작해 볼게요~!

 

 

 

Z플립4 불량 테스트하는 방법


1. 외관

먼저 제일 처음부터 보이는 외관부터 가야겠죠. 외관을 눈으로 살펴봤을 때 찌그러짐이나 흠집 같은 게 있는지를 자세히 한번 살펴보시고요. 물론 여러 명이서 보시는 것도 좋아요. 눈은 많을수록 좋죠. 굉장히 많이 놓치는 부분이 테두리 부분입니다. 보호용 테이프가 붙어 있으니까 놓치기 쉬운데 보호용 테이프가 정상적으로 붙어 있었는지부터 확인해주세요. 물론 떼어내고 사용하지만 보호용 테이프가 처음부터 없었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죠.

  

 


Z플립이나 이런 Z폴드는 이 힌지가 독특하잖아요? 그래서 정상적으로 힌지가 작동을 하는지와 힘이 없지는 않은지, 완벽하게 180도까지 펼쳐지는 지는지도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이번 4세대 시리즈 힌지의 특징은 굉장히 작은 각도에서도 프리스탑 힌지를 잘 구현했습니다. 기존의 Z플립 3의 경우에는 작은 각도에서는 프리스탑 힌지를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거의 닫히기 전까지도 프리스탑 힌지가 잘 버텨줘야 합니다. 3에 비해 많이 개선이 된 것 같습니다.


2. 내부 프로그램

삼성에서는 기본적으로 자가진단 서비스를 지원을 합니다. 기본으로 깔려있는 삼성 멤버스 앱에 들어가면 중간쯤에 '자가 진단' 을 누르시면 여러 가지 테스트들이 나옵니다. 이때 맨 밑에 전체 진단 시작을 누르면 배터리 상태, nfc 등을 자동으로 확인하면서 휴대폰 상태가 정상인지 아닌지 판단합니다. 근접 동작 인식 같은 경우에는 직접 만져가며, 눌러가며 테스트를 해야 합니다. 물론 터치 테스트도 있습니다. 만약 내가 원하는 부분에 터치가 정확히 안 되거나, 특정 구역에서 터치가 안 된다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먼저 확인을 해주세요. 전체 진단에서는 정상이라고 나왔지만 내가 느끼기에 조금이라도 이상하다고 느껴지시면 서비스센터에 직접 가셔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전체 진단에서 시키는 것들을 계속해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삼성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숨겨져 있는 테스트 방법도 있습니다. 전화 앱에 들어가서 *#0*#을 눌러주면 숨겨져 있는 테스트 항목을 눌러볼 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는 아까 했던 자가 진단이랑 겹치는 것들이 있는데 그건 빼고 색깔 테스트등 같이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건 여기서 체크를 해보시면 됩니다. 하나씩 눌러보시고 뭔가 화면이 좀 이상한 곳이 있다 싶으시면 역시나 서비스센터를 가보시기 바랍니다.  또 터치 검사는 아까 전체 진단보다 더 정밀하게 터치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한번 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립 센서는 지금 내가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테스트입니다.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혹시나 이 화면으로 들어왔는데 뒤로 가기도 안되고 프로그램을 종료가 안되면 볼륨 아래키와 전원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다시 시작하기 화면이 나옵니다. 강제 종료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Z플립4 초기 불량을 테스트 및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가급적이면 개봉하는 것부터 촬영을 한 후에 외관 상태를 점검을 하시고 2주 안으로 불량이 확인되면 교환을 받거나 철회를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 이후에는 무료로 수리를 받을 수 있겠지만 수리를 받으러 왔다 갔다 해야 되기 때문에 귀찮잖아요. 가급적이면 빠르게 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댓글